최근 미국 증시는 다시 한번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2025년 4월 2일, 미국 증시는 정규 거래시간 동안 상승세로 마감했지만, 장 마감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관세 발표로 인해 시간 외 거래에서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급락의 중심에는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이 있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주요 내용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최소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특히 무역 수지 불균형이 심각한 약 60개 국가에 대해서는 더욱 강력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것입니다. 가장 주목받는 나라별 추가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 25%
- 중국: 34%
- 유럽연합(EU): 20%
- 일본: 24%
이번 정책은 4월 5일부터 모든 국가에 10% 기본 관세가 적용되며, 추가 관세가 높은 국가에는 4월 9일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될 예정입니다.
시장 전문가들의 분석과 전망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대해 전문가들은 시장에 미칠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트 호건은 이번 관세 부과 수준이 예상보다 복잡하고 시장의 기대를 넘어선 부분이 많아 아직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평가했습니다.
레리 텐타 랠리는 만약 기본 관세율 10%만 발표되었다면 시장이 오히려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추가적으로 발표된 관세율이 시장의 예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 충격을 주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제프 킬버그는 현재 높은 관세율이 주가를 크게 흔들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아직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에서 최종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려되는 글로벌 보복 조치
이번 관세 발표 이후 무역 상대국들의 보복 조치 가능성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베센 재무장관은 글로벌 무역 파트너들에게 보복 조치를 자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현재 발표된 관세율이 사실상 최대치라며, 보복 조치가 없으면 추가 관세는 없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불확실성이 큽니다.
주식과 채권 시장 반응
이날 정규 거래시간 동안 S&P 500 지수는 0.7% 상승했지만, 관세 발표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는 3% 이상 급락했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의 최고 자문 역할을 그만둘 수 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주가가 5.3% 급등했지만, 머스크 본인은 이를 가짜 뉴스라고 부인했습니다.
한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bp 상승한 4.21%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지난달 미국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391억 달러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며, 경기 침체와 글로벌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투자자들이 주목할 일정
투자자들이 시장의 추가적인 변동성을 대비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주요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4월 3일 10시 45분: 중국 3월 차이신 서비스 PMI 발표
- 4월 3일 22시 30분: 미국 2월 무역 수지,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발표
- 4월 3일 22시 45분: 미국 3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PMI, 합성 PMI 발표
- 4월 3일 23시: 미국 3월 ISM 서비스 PMI, 가스 재고 발표
- 4월 4일 0시 30분: 연준 제퍼슨 부장 연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글로벌 경제는 다시 한번 큰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변동성이 커진 시장 환경에서 보다 신중한 투자 전략을 세우고, 관련 소식들을 꾸준히 주목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나라 별 상호관세를 정리해 놓았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국가 | 미국에 부과한 관세율 | 미국이 부과하는 관세율 |
중국 | 67% | 34% |
유럽연합 | 39% | 20% |
베트남 | 90% | 46% |
대만 | 64% | 32% |
일본 | 46% | 24% |
인도 | 52% | 26% |
대한민국 | 50% | 25% |
태국 | 72% | 36% |
스위스 | 61% | 31% |
인도네시아 | 64% | 32% |
말레이시아 | 47% | 24% |
캄보디아 | 97% | 49% |
영국 | 10% | 10% |
남아프리카공화국 | 60% | 30% |
브라질 | 10% | 10% |
방글라데시 | 74% | 37% |
싱가포르 | 10% | 10% |
이스라엘 | 33% | 17% |
필리핀 | 34% | 17% |
칠레 | 10% | 10% |
호주 | 10% | 10% |
파키스탄 | 58% | 29% |
터키 | 10% | 10% |
스리랑카 | 88% | 44% |
콜롬비아 | 10% | 10% |
페루 | 10% | 10% |
니카라과 | 36% | 18% |
노르웨이 | 30% | 15% |
코스타리카 | 17% | 10% |
요르단 | 40% | 20% |
도미니카공화국 | 10% | 10% |
아랍에미리트 | 10% | 10% |
뉴질랜드 | 20% | 10% |
아르헨티나 | 10% | 10% |
에콰도르 | 12% | 10% |
과테말라 | 10% | 10% |
온두라스 | 10% | 10% |
마다가스카르 | 93% | 47% |
미얀마 | 88% | 44% |
튀니지 | 55% | 28% |
카자흐스탄 | 54% | 27% |
세르비아 | 74% | 37% |
이집트 | 10% | 10% |
사우디아라비아 | 10% | 10% |
엘살바도르 | 10% | 10% |
코트디부아르 | 41% | 21% |
라오스 | 95% | 48% |
보츠와나 | 74% | 37% |
트리니다드토바고 | 12% | 10% |
모로코 | 10% | 10% |
'경제 & 시장 분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요약] 미국 주요 증시 이슈! 테슬라 주가 12% 급등...! (21) | 2025.03.25 |
---|---|
[뉴스요약] 트럼프 관세 정책과 미국 주식 시장 및 반도체 산업 동향 (20) | 2025.03.24 |
[뉴스분석] 공매도 재개 D-Day, 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모든 것 (20) | 2025.03.21 |
[뉴스요약] 미국 기준금리 결정 및 테슬라, 캘리포니아 'TCP' 허가 취득 (38) | 2025.03.20 |
[뉴스요약] 엔비디아 GTC2025 , 오픈 휴머노이드 로봇 Groot N1과 AI 혁신 발표 (7) | 2025.03.20 |